안전6 WHO 아스파탐 발암물질 2B군 등급 분류는 어떤 의미일까? 세계보건기구 WHO의 산하기구인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설탕을 대체하는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을 발암물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규정했습니다. 발암물질은 1군, 2A군, 2B군, 3군, 4군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1군의 의미는 인체에 발암물질이 확실시되는 것이고, 2A군은 발암물질의 가능성이 높음, 2B군은 발암물질 가능성이 있음, 3군은 연구결과가 거의 없어 발암물질로 분류되기 힘든 물질, 4군은 발암물질이 아닌 것으로 인정이 되는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발암물질 2B군 아스파탐의 위험성 그렇다면 아스파탐의 발암물질 등급인 2B군은 어떤 물질들이 있을까요? 커피, 오이피클, 젓갈, 고사리, 절임채소, 알로에 등이 있습니다. 발암물질 2B군의 리스트를 보면서 드는 생각은 크게 심각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2023. 7. 9. SCCPs(단쇄염화파라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얼마 전 대전충남소비자연맹에서 요가매트에 대한 유해물질을 조사했습니다. 요가매트 제품 10개 중 1개 제품에서 SCCPs(단쇄염화파라핀)이 검출되었다는 시험결과를 내놓았습니다.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물질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SCCPs란? 유럽에서는 SCCPs를 POPs(잔류성유기오염물질)에 관한 규정에 따라 모든 요가매트에 대해서 SCCPs 함량을 1500mg/kg 이하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함량이 기준치보다 높을 시 모두 리콜조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러한 안전기준이 따로 없어서 권고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SCCPs는 국제암연구소에서 인체발암가능 물질로 분류하고 있는데 등급으로는 2B입니다. SCCPs는 다양한 제품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고무나 PVC(폴리염화비닐), 가.. 2023. 7. 8. 북한 네이버 복제 피싱사이트와 그 외 피싱사이트 예방방법 국가정보원에서 북한이 만든 피싱사이트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네이버를 사칭한 포털사이트로 원래 주소인 www.naver.com 가 아닌 naverportal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풀주소를 남기지 않은 이유는 혹시나 클릭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여러 피싱사이트와 예방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북한 네이버 복제 피싱사이트 한국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포털검색사이트 네이버는 대부분 주소를 확인하지 않습니다. 저 또한 사이트 주소는 따로 확인하지 않고 접속을 하는데 북한이 만든 피싱사이트가 네이버를 완전히 복제한 모습입니다. 네이버주소가 아니라면 절대 접속하지 않아야 합니다. 로그인이나 경품, 바이러스 앱 설치유도 등 다양한 형태로 바이러스 유포를 통해 해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는 북한의.. 2023. 6. 25. 공동주택관리자 침수대비 교육수료증 이수방법 올해 6월 30일까지 의무관리 공동주택은 여름철 태풍과 집중호우에 대비한 침수사고 예방을 위해 관리자가 필수로 들어야 하는 교육입니다. 교육을 모두 수료 후에 이수증을 출력하여 K-apt에 꼭 입력하셔야 인정이 됩니다. 공동주택관리자 침수대비교육은 국토교통부에서 긴급한 요청에 따라 실시하는 교육과정이기 때문에 관련교육자들은 급하게 이수해야 하는 애로사항이 있습니다. 관리사무소장(필수)과 안전관리자(권고)가 교육대상자입니다. 모두 받는 것은 아니며 점검대상이 있습니다. 점검대상은 관리비 공개 의무단지입니다. 관리비 공개 의무단지 3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150세대 이상이고 승강기가 설치된 공동주택 150세대 이상이고 중앙집중식 난방방식의 공동주택 주택이 150세대 이상인 주상복합아파트 입주자들이 2/3 .. 2023. 6. 2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