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 ETF는 투자자들이 미국 기업의 회사채에 투자할 수 있는 편리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미국 회사채 ETF에 대한 기본 개념, 장점, 주요 ETF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회사채 ETF란?
미국 회사채 ETF는 미국 기업이 발행한 회사채를 등급에 따라 모아놓은 ETF입니다. 이러한 ETF는 투자자들에게 여러 종류의 회사채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국채보다 이자 수익률이 높지만 안정성은 떨어지는 투자입니다.
미국 회사채 ETF의 장점
- 여러 가지 선택지: 미국 회사채 ETF는 여러 기업의 회사채를 하나의 포트폴리오로 제공하고 있으며, 투자 다변화를 실행하기 쉽습니다.
- 안정성: 미국 회사채 ETF는 다양한 회사채를 추종하기 때문에 단일 발행 된 회사채에 비해서 안정성이 높습니다.
- 유동성: 미국 회사채 ETF는 주식거래처럼 쉽게 매매가 가능하여 투자자들에게 유동성을 제공해 주고, 인기 있는 종목일수록 거래가 활발하기 때문에 주가가 안정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 수익률: 미국 회사채 ETF는 매달 높은 이자수익을 제공하므로 금융자산에서 원활한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미국 회사채 ETF 종류
미국 회사채는 크게 두 가지 신용등급으로 나뉘는데 투자 등급(investment grade)과 투기 등급(high yield or speculative grade)입니다. 투기 등급 채권은 신용도가 낮은 기업이 발행하는 것으로, 투자 등급 채권에 비해서 높은 신용 위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공신력 있는 신용평가 기관인 무디스와 S&P, Fitch Ratings는 전 세계의 채권을 평가하고, 각 채권을 위의 표와 같이 투자등급채권 또는 하이일드(투기등급) 채권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투자등급은 AAA부터 BBB- 이상의 채권을 말하고, 하이일드채권은 BBB- 또는 이하로 평가되는 채권을 말합니다.
그럼 투자등급에 속해 있는 회사채 ETF부터 알아보겠습니다.
- iShares iBoxx $ Investment Grade Corporate Bond ETF (LQD): 투자 등급의 미국 회사채 중에 가장 인기 있는 ETF이지만 최근 시가총액이 VCIT에 밀리는 모습입니다. 아마도 LQD가 VCIT보다 높은 운용수수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 Vanguard Intermediate-Term Corporate Bond Index Fund ETF Shares (VCIT): 운용사는 뱅가드이며 시가총액이 현재 회사채 ETF 중에서는 가장 높습니다.
- SPDR Barclays Interm. Term Bond (SPIB): 중기채로 구성된 투자등급 회사채 ETF입니다.
- iShares 5-10 Year Investment Grade Corporate Bond ETF (IGIB): 5-10년의 중기채로 구성되어 있는 투자등급 회사채 ETF입니다.
다음은 투기등급(하이일드채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iShares iBoxx $ High Yield Corporate Bond ETF (HYG): 가장 인기 있는 하이일드 채권 ETF입니다. 하이일드 채권답게 높은 이자수익률을 제공합니다.
- SPDR Bloomberg High Yield Bond ETF (JNK): 두 번째로 큰 하이일드 채권 ETF로 HYG보다는 운용수수료가 낮고 이자수익률이 1% 이상 높습니다.
- SPDR Bloomberg Short Term High Yield Bond ETF (SJNK): 앞서 설명드린 JNK와 비슷한 상품이지만 단기채권 위주로 구성된 하이일드 채권 ETF입니다. 만약 하이일드 채권에 관심이 있다면 개인적으로 추천드리는 상품입니다. 이자수익률이 상당히 높고, 리스크가 투자등급 회사채보다 높은 하이일드 채권에서 단기채권이기 때문에 좀 더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Xtrackers USD High Yield Corporate Bond ETF (HYLB): 소개해드린 하이일드 채권 상품 중에서 운용수수료가 가장 낮습니다.
마무리
위에 설명드린 투자등급과 하이일드 채권은 모든 미국의 회사채 ETF를 담고 있지는 않습니다. 총 8가지의 회사채 ETF는 미국 내에서 인기가 많고 주식의 유동성, 시가총액, 운용사 등을 고려하여 작성되었습니다. ETF이기 때문에 주식처럼 주가의 변동성이 있으므로 투자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 현시점은 미국의 기준금리가 상당히 고금리이기 때문에 회사채의 이자수익률이 높은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자수익률은 매달 채권금리에 의해서 변동하기에 관심을 갖고 꾸준히 금리의 변동을 체크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제 >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9월 20일 FOMC 연준 파월 회의 요약 (0) | 2023.09.26 |
---|---|
리튬 배터리 산업투자 미국 ETF (0) | 2023.06.04 |
JEPI vs SCHD 배당 ETF 비교 (0) | 2023.06.01 |
미국주식 ETF상품 보유종목(Holdings) 확인방법 (1) | 2023.05.29 |
미국주식 배당락일 확인하는 방법 (0) | 2023.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