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MF장기투자는 과연 안전할까요? TMF는 장기채권의 3배 레버리지 ETF상품입니다. 미국 장기국채 ETF인 TLT와는 다르게 움직입니다. 그래서 TLT와 TMF는 항상 3배 차이가 나지 않으며 속된 말로 TMF는 장기투자 시 돈이 녹아버리는 위험성이 있습니다.
TMF 장기투자 시 위험성과 전략
TMF가 장기투자 시 녹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TLT와 TMF가 가격이 100달러로 같다고 가정합니다. 하루에 3% 오르는 TLT는 103달러가 되고 TMF는 109달러가 됩니다. 다음날 똑같이 -3% 하락하면 TLT는 99.91달러가 되지만 TMF는 99.19달러가 되어버립니다. 주식의 특성상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기 때문에 이렇게 횡보만 한다면 TMF가 불리해 보이지만 주가의 하락폭보다 상승폭이 지속적으로 더 높다면 TMF가 TLT의 정확히 3배로 오르지는 않겠지만, 훨씬 더 많은 수익을 가져다줍니다. 반대로 TMF 장기투자 시 위험성은 두 가지입니다. 주가의 움직임이 하락추세이거나 횡보가 지속될 때입니다. 보통 이러한 시기는 TMF를 투자하기에는 안전하지 않습니다. TMF가 하락추세인 시기는 경기침체로 돈을 푼 이후 물가상승의 요인으로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할 때와 드물지만 국가나 은행이 대량으로 채권을 매도하는 경우입니다.
전략
TMF 같은 3배 레버리지 상품은 장기투자를 절대 추천하지 않습니다. 장기투자는 개인마다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5년 이상을 말합니다. 1~2년 이내의 중단기 투자를 해야 할 경우는 있습니다. 개인에 따라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시간이지만 금리상단을 예측하기 어려운 시기에 선제적으로 TMF를 매수하였다면 대처방안과 전략이 필요합니다.
단기 중기 장기 기준과 적합한 투자계획
단기 중기 장기 기준의 분류는 투자하는 주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쉽게 정의 내리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단기투자는 보통 1년 이내, 중기투자는 5년 이내, 장기투자는 5년 이상을 말합니다.
alonericealonemovie.tistory.com
우선 TMF를 1~2년 정도 보유해야 할 경우는 언제일까요? TMF는 장기국채 ETF입니다. 장기국채는 기준금리 인상시기에 금리상단이 정해졌다고 확신에 들었을 때 투자하는 것이 가장 베스트입니다. 하지만 기준금리의 금리상단은 아무도 모릅니다. 심지어 연준의원들도 경제지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경기과열이 끝나고 물가상승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거나 경기침체 징조가 보여야 동결이나 인하를 결정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TMF의 전략적인 매수시점이 중요합니다. 타이밍을 잡는 것은 정말 중요하지만 경제흐름을 예측하는 것은 신의 영역입니다. 하지만 방법은 있습니다. 연준의원들의 발언이나 경제지표를 꾸준히 추적관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투자규모가 아무리 큰 기관들도 최저점에 TMF를 매수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서 포인트는 분할매수입니다. 생각했던 투자금을 한 번에 100% 투자하기보다는 적절한 시기가 왔을 때 조금씩 분할로 사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얼마 투자하지 않았을 때 랠리가 시작되었다고 동요하면 안 됩니다. TMF는 장기국채 레버리지 상품이기 때문에 정말 신중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매수한 시점이 최저점이라고 하더라도 매달 나오는 미국의 경제지표를 참고하면서 필요한 대응을 하시기 바랍니다.
장기채권 ETF KBSTAR KIS 국고채 30년 Enhanced 세금과 정보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회사채 커버드콜 ETF 종목 (LQDW, HYGW) (0) | 2023.05.23 |
---|---|
미국 부동산 하락 인버스 ETF 정리(1배, 2배, 3배) (0) | 2023.05.22 |
미국 예금 금리가 기준금리에 비해서 낮은이유 (0) | 2023.04.24 |
단기 중기 장기 기준과 적합한 투자계획 (0) | 2023.04.16 |
댓글